728x90

주택을 사게 되면 그 소유권을 취득하면서 취득세를 납부해야 하는데요. 예전에는 취등록세라고 재산을 취득할 때 내는 세금과 등록할 때 내는 세금으로 나뉘었는데 지방세법 개정으로 합쳐졌습니다. 취득세는 부동산, 자동차, 골프회원권, 콘도회원권 등을 취득할 때도 납부합니다.   

 

취득세 신고방법

 

 

 

청약을 통해 아파트를 분양받은 일반 분양자의 취득세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분양을 받은 주택의 소유권을 취득하면 취득세를 납부해야하는데요. 분양받은 주택의 가격은 물론 발코니 확장, 옵션에 따라 취득세 금액이 결정됩니다. 조합은 건축비에 대한 취득세만 납부해서 일반분양자의 취득세 금액보다는 적게 나와요. 같은 일반 분양자라도 분양가격, 옵션가격, 주택 소유수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 적지 않은 금액인 만큼 청약 신청 전에 취득세까지 잘 계산해서 돈을 준비해야 해요.

 

 

취득세 신고 납부 기한

 

취득세는 잔금 납부 후 60일 이내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 사용승인일(준공승인일) 이전에 잔금을 납부한 경우에는 사용승인일을 기준으로 60일 계산됩니다.

 

과세표준
분양가액(프리미엄 포함) + 발코니 확장비용 + 옵션가액

 

취득세 세액 계산

 

취득세는 주택 분양가를 기준으로 주택 가격에 따라 보통 1~3% 사이로 부과됩니다. 조정대상지역인지 조정대상지역 외 지역인지, 1 주택, 2 주택, 3 주택 등 주택 소유 수에 따라도 세율이 달라져요.

 

 

서울시취득세
서울시 부동산 취득세율

 

 

대략적으로 알 수 있는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가 있습니다. 전용 85제곱미터 이하 주택이 10억 원 정도라면 3,300만 원 정도가 나오네요. 잔금내고 이사하고 바쁜 와중에 2달 내로 3천여만 원의 취득세까지 내는 것이 참 쉽지 않은데요. 여기에 옵션등 추가금액이 있으니까 금액이 더 크겠죠? 그러니 미리 금액을 대략 알아놓고 준비해 놓는 것이 필요해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를 통해 대략적으로 계산해 보세요.

 

취득세계산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xearch&ssc=tab.nx.all&query=%EB%B6%80%EB%8F%99%EC%82%B0+%EC%B7%A8%EB%93%9D%EC%84%B8+%EA%B3%84%EC%82%B0%EA%B8%B0&oquery=%EB%B6%80%EB%8F%99%EC%82%B0+%EC%B7%A8%EB%93%9D%EC%84%B8+%EA%B3%84%EC%82%B0%EA%B8%B0&tqi=iGV1xsqVN8VsstxET4VssssssvR-354797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 네이버 검색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의 네이버 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취득세 신고 준비 서류

 

- 취득세 신고서 및 주택취득상세명세서

- 분양, 발코니확장, 옵션계약서 사본

- 분양대금납부확인서 

- 부동산거래계약신고필증

- 가족관계증명서 (상세)

- 주민등록등본

- 공동명의의 경우 증여계약서 사본

 

 

취득세 신고서 및 주택취득상세명세서는 구청에 구비되어 있어서 바로 작성할 수 있지만 온라인으로 미리 출력해서 적어갈 수도 있어요. 

[별지 제3호서식] 취득세(기한 내¸ 기한 후)신고서¸ 주택 (무상¸ 유상거래) 취득 상세 명세서(지방세법 시행규칙) 240326.pdf
0.10MB

 

 

300x250

 

취득세 신고 납부방법

 

취득세 신고는 해당 지역의 구청(또는 시청) 재산세과, 온라인에서 할 수 있는데요. 취득세를 신고하면 금액이 적힌 납부고지서를 받게 됩니다. 서울시의 경우 이택스, 서울 이외 지역은 위택스에서 납부 가능한데요. 취득세 조회 후 '일부납부' 선택해서 10회까지 분할 납부 가능해서 여러 개의 카드로 납부할 수도 있고 카드, 이체 등 납부 방법을 혼합하여서도 납부가능합니다.

 

카드의 경우 카드 한도가 부족할 수 있는데요. 이때는 취득세 납부예정이라고 카드사에 요청해서 특별한도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무이자 할부 혜택을 주기도 하니 가지고 있는 카드의 혜택을 확인하거나 신규 혜택 카드발급도 고려하면서 잘 찾아보세요. 

 

 

서울시 취득세 납부 사이트(이택스)

 

https://etax.seoul.go.kr/index.html?20250118

 

서울시ETAX - 소중한세금! 알뜰하게 사용하겠습니다

 

etax.seoul.go.kr

 

 

 

서울시 이외 취득세 납부 사이트 (위택스)

 

https://www.wetax.go.kr/main.do

 

wetax

지방세, 위택스에서 더욱 더 쉽고 편리한 서비스를 만나 보세요

www.wetax.go.kr

 

 

 

 

취득세를 납부했다면 이제 등기가 남았는데요. 등기의 경우 소유권이전고시 -> 건축물대장생성 -> 보존등기(조합, 조합원) ->이전등기(일반분양자) 이 순서대로 진행되는데 분양 아파트의 경우 보통 2년은 걸린다고 합니다. 등기에 드는 비용은 취득세만큼의 금액은 아니니 큰 부담은 없어요. 그리고 등기할 때 필요하기 때문에 취득세 납부 영수증은 잘 보관해놔야 합니다.

728x90
728x90
728x90

사업자가 1월이 되면 어김없이 해야하는 것들이 통신판매업 등록면허세 납부와 함께 부가가치세 신고입니다. 부가가치세란 상품의 거래나 서비스의 제공과정에서 얻어지는 부가가치에 과세하는 세금으로, 부가가치세는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사업자 중에 간이관세자와 일반과세자는 부가세 신고 절차가 달라요. 일반사업자는 6개월 과세 기간으로 1월, 7월에 신고하는데 간이과세자는 1년을 과세기간으로 다음해 1월 신고납부합니다.

 

신고기간
직전 연도 1.1~12~31까지 매출을 1.1~1.25까지 신고 납부
(25년은 1월 31일까지 연장되어 신고하고 납부하면 됩니다.) 

 

일반과세자 : 매출세액의 10% / 매입세금을 공제 

간이과세자 : 매출세액의 1.5%~4% / 매입액의 0.5%만 공제

 

매출액 규모에 따라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변경되기도 하지만 업종에 따라 일반과세자만 가능한 업종도 있습니다. 아직은 매출이 크지 않아서 혼자할 수 있는 금액이라 하고있지만 매번 할 때마다 헤매고 찾아보고 제대로 하고 있나 하면서 하고 있어서 기록용으로 남겨두려고 합니다. 저처럼 혼자 진행하시는 분들에게도 도움되었음 좋겠네요. 매출이 없다하여도 무소득 신고는 꼭 해야합니다. 

 

 

홈택스 부가가치세신고

 

 

부가세 신고전 미리 준비할 것들

신고전 먼저 할 일은 부가세 신고 자료를 다 모아놓으면 됩니다. 보통 신용카드 전표, 현금영수증, 기타 자료들이에요. 쇼핑몰에 입점해있다면 쇼핑몰에서 부가세 신고자료를 다운받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의 경우 정산관리 -> 부가세신고 내역에서 자료를 받을 수 있어요.

 

스마트스토어 부가세신고

 

 

 

그리고 사업자 신용카드 매입세액 공제/확인 변 메뉴를 통해서 사업자 카드로 사용한 내역 중 공제/불공제 여부를 변경해놓습니다. 홈 -> 전자세금계산서,현금영수증,신용카드 ->사업용 신용카드 사용내역 ->매입세액 공제확인/변경에서 할 수 있습니다. 간혹 관계없는 금액이 공제금액으로 되어있거나 공제받아야 되는 금액이 불공제로 되어있거나 해요. 그래서 이 부분도 미리 해줘야 신고할 때 편합니다. 1월초에 신고하려고 하니 아직 12월 자료들이 넘어오지 않은 것들이 있어서 1월 14일 지나고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사업자신용카드 매입공제

 

 

 

 

국세청 홈택스 부가세 전자신고하는 방법

 

 

https://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pp/index_pp.xml&tmIdx=41&tm2lIdx=4102000000&tm3lIdx=4102080000

 

국세청 홈택스

 

hometax.go.kr

 

 

자료들이 준비되었다면 국세청 홈택스에서 신고할 차례입니다. 

부가세 신고는 매출세액, 매입세액, 면세대상, 과세대상 등의 항목이 중요합니다. 가끔 금액이 맞지 않을 때는 진짜 눈물나요. 그래도 정말 다행인 것은 연말정산처럼 불러오기 버튼을 통해서 자료들을 불러올 수가 있어요. 그 외 채워지지 않은 부분들만 잘 채우면 됩니다. 

 

신고기간에는 메인페이지에서 부가가치세 정기확정 신고로 바로 갈 수도 있습니다. 세금신고 -> 부가가치세 신고 -> 간이과세자 신고로 갑니다. 

 

홈택스

 

 

 

신고하기를 누르면 사업자번호랑 나오는 기본정보가 있습니다. 사업자 정보 옆의 [확인] 버튼을 누르면 빈칸이 자동으로 채워져요.

 

부가세신고

 

 

 

기본정보가 입력되어 수정사항없으면 저장하고 다음페이지로 넘어갑니다. 그러면 매출세액, 공제세액 페이지가 나옵니다. 여기서 뭘 어떻게하나 고민했는데 (매년 신고 페이지가 달라지고 있어요. ㅠㅠ) 0밑에 밑줄있는 부분을 눌러서 정보를 하나씩 불러오면 됩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채워진다는 것!

 

홈택스 부가세신고

 

300x250

 

 

신용카드를 누르면 매출전표 발행금액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조회/수정하기 버튼을 누르면 월별 매출전표가 나옵니다. 현금영수증의 경우도 동일하게 나와요.

 

부가가치세 신고

 

 

 

이상이 없으면 조회결과 집계를 클릭하고 적용하기를 누르면 금액이 채워집니다.

 

간이과세자 부가세신고

 

 

이렇게 해당되는 항목의 금액들을 눌러서 채우고 신용카드와 현금영수증을 제외한 매출분은 기타금액에 수기로 입력했어요. 기타는 휴대폰결제나 페이결제들이 포함되나 봐요. 부가세 신고자료 받을 때도 기타항목으로 따로 되어 있더라고요.

 

개인적으로는 점점 익숙해져서인지 모르겠지만 화면이 작년에 할 때보다 더 편리하게 바뀌어진 것 같아요. 이제 통신판매 등록면허세까지 납부완료했으니 1월의 일은 끝났습니다! 

 

728x90
728x90
728x90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스마트스토어와 별개로 다른 상품군을 위탁판매하고 싶어서 추가 스토어 개설조건을 알아봤습니다. 하나의 사업자를 가지고 스마트 스토어는 3개까지 만들 수 있고요. 4가지 조건을 충족해야만 추가 스토어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이미 2개를 운영 중이라면 2번째 생성된 스토어가 위 조건에 부합할 경우 3번째 스토어를 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기존 계정과는 다른 상품군(소 카테고리 기준)만 취급 가능합니다. 같은 카테고리 상품을 또 스토어 개설해서 판매하는 것은 안 된다는 것이죠. 두 개의 스토어에서 같은 물건을 판매할 수 없어요.

 

스마트스토어 개설

 

 

 

스마트스토어 추가 개설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마트스토어 추가 스토어 개설 조건

1. 회원가입일자 : 스토어 생성일로부터 6개월 이상 경과
2. 매출액 : 3개월 총 매출액 합산 800만 원 이상 
3. 판매 만족도 : 최근 3개월 판매 만족도 4.5점 이상
4. 징계여부 : 최근 3개월내 대표계정 이용정지 횟수 기준치 이상

 

 

 

내 스토어가 현재 추가개설 가능한지 여부는 스마트 스토어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데요. 스마트스토어에서 판매자 정보-> 판매자정보변경 ->정보변경 신청을 클릭하면 오른쪽 상단에 초록색박스에 스마트스토어 추가 버튼이 있습니다. 

 

스마트스토어 2개

 

 

 

그 버튼을 누르면 현재 조건을 충족하는지 불충족하는지 알 수 있어요.

 

스마트스토어 추가

 

스마트스토어 추가개설조건

 

 

 

어떤 분들은 판매만족도가 어렵다고 하시는데 저의 경우는 아직 판매액 때문에 불충족입니다. ㅠㅠ 스토어를 추가 개설해서 다른 카테고리를 팔아서 판매를 늘려보고 싶은데 이 매출액이 좀처럼 충족이 어렵더라고요. 매출액을 늘리고 싶어서 이 스토어는 그대로 두고 새로운 스토어에서 판매를 하려고 하지만 기존 스토어 매출조건이 안돼서 추가 개설이 어렵습니다. 돈 한번 벌기가 어렵네요. ㅠㅠ

 

300x250

 

 

사업자 번호를 추가로 내서 개설하면 되는 거 아닌가 싶지만 사업자 번호가 다르더라도 세부정보에서 연관성이 있으면 동일 사업자로 간주한다고 합니다. 전화번호나 사업장 주소가 동일한 다른 사업자가 동일 상품군을 취급할 경우 위반사항이래요. 이를 위반할 경우 경고, 그 후 수정하지 않으면 추가 생성된 순서로 스토어가 이용정지 됩니다. 

 

참고로 스토어명 변경을 원할 경우에는 스토어 관리 -> 기본정보 관리 메뉴에서 1회에 한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스토어를 운영하면서 느낀 것은 내가 팔고싶은 것을 판매하는 것보다는 다른 사람이 원하는 것을 판매하는 게 중요해요. 사람들이 사고 싶어 하는 것을 판매하고 나서 조건이 충족되면 그때 스토어를 추가 개설해서 내가 팔고 싶은 것들을 판매하면 됩니다. 저는 그 반대여서 어려운 길을 가고 있습니다. 그러니 처음 스마트스토어 개설을 고민하는 분들은 여러 상황들을 고려해서 스토어명, 카테고리 등을 신중하게 결정하셨으면 해요. 

 

관련 포스팅

스마트스토어 정산일 빠른정산 신청조건

스마트스토어 방문수령, 직접전달 빨리 정산받는 방법

 

728x90
728x90
728x90

주식하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받아봤을 것이 배당금 통지서, 주주총회 참석장일 텐데요. 대부분 정보수신을 이메일이나 SMS로 하고 있는데 이것은 우편물로 꼭 날아오더라고요. 특히나 남 모르게 주식하고 있다가 갑자기 집으로 날아온 배당금 통지서에 당황하는 분들도 분명 계실 겁니다. 물론 얼마나 배당받는지, 주주총회 참석하기를 원하는 분들은 유용한 정보이지만요. 가끔은 이미 배당금이 입금되었는데 뒤늦게 날아올 때도 있고 주주총회 관련하여 책자가 오기도 하는데 저한테는 불필요한 정보라서 수신거부 방법을 찾아보았습니다. 몇 년 전까지는 무조건 우편 통지를 할 수밖에 없었는데 우편물 수신거부가 가능해졌습니다.

 

이용하고 있는 증권사와 상관없이 통지서는 종목에 따라 증권대행업무를 맡고 있는 한국예탁결제원, KB국민은행, 하나은행에서 3곳에서 발송됩니다. 보유하고 있는 종목의 대행기관을 찾아서 수신거부하는 방법도 있지만 언제 어떤 종목을 매수할지 모르니 3곳 모두 수신거부 등록을 하였습니다.

 

 

주식배당통지서 수신거부

 

 

배당금 통지서우편물 수신거부 방법

 

 

1. 한국예탁결제원

 

 

https://www.ksd.or.kr/ko/

 

한국예탁결제원

 

www.ksd.or.kr

 

 

1. 서비스 안내 -> 증권대행

한국예택결제원 홈페이지에서 서비스 안내-> 증권대행을 클릭합니다.

 

예탁결제원 수신거부

 

 

2. 통지서 수령거부 신청을 선택합니다.

통지서 수령거부 신청을 선택하고 수령거부를 신청합니다. 

 

배당금통지서 수령거부

 

 

주식 배당금통지서

 

 

 

 

내가 보유한 종목이 어떤 대행사인지 확인하려면 [명의개서대행회사 확인하기]를 클릭합니다.

 

배당금우편물 거부

 

 

 

기업명으로 검색해주면 대행기관을 확인할 수 있어요. 삼성전자는 KSD(한국예탁결제원)입니다. 

 

배당금우편물통지서 수신거부

 

 

 

S-oil의 경우 국민은행이네요. 이렇게 종목별로 대행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식우편물 수신거부

 

 

 

3. 수령거부 신청 후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하고 본인인증수단으로 인증합니다. 

 

예탁결제원 주식배당금통지서 거부

 

통지서 수령거부신청

 

 

 

4. 거부할 통지서를 선택하고 처리결과 안내받을 휴대폰 번호와 이메일 주소를 입력한 후 신청등록을 합니다.

 

주식배당금 우편물

 

 

5. 한국예탁결제원 통지서 수령거부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배당금통지서 수령거부신청

 

 

300x250

 

2. KB국민은행 

 

 

https://obiz.kbstar.com/quics?page=obiz&QSL=F&_ga=2.204625241.873925336.1727069992-1045936604.1725860324#loading

 

KB국민은행 기업인터넷뱅킹

이벤트 및 서비스 정보

obiz.kbstar.com

 

1. KB국민은행 -> 기업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기업서비스 -> 증권대행 업무 -> 주식업무(주주)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우편물 수령 거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어요.

 

국민은행 배당금통지서 거부

 

 

2. 수령 거부 통지서를 선택하고 등록/변경하기를 클릭합니다.

 

국민은행 증권대행업무

 

 

 

3. 클릭 몇 번으로 바로 수신 거부 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국민은행 주식배당금 통지서 거부

 

 

 

3. 하나은행

 

https://www.kebhana.com/

 

하나은행

 

www.kebhana.com

 

 

1. 하나은행사이트에서 조회-> 증권대행업무를 클릭합니다.

 

하나은행 증권대행업무

 

 

 

2. 우편물 수취거절을 선택해요. 하나은행은 지금 보유하고 있는 종목이 나오더라고요. 등록/변경을 선택합니다.

 

하나은행 증권대행업무 우편물

 

 

 

3. 통지서중 수취거절 우편물을 선택하고 등록을 눌러줍니다.

 

하나은행 주식배당금 수신거부

 

 

4. 우편물 수취거절이 완료되었습니다.

 

주식배당금 우편물 수취거절

 

 

이제 불필요한 우편물을 받지 않아도 돼서 좋아요. 혹시라도 중요한 정보를 놓칠수 있으니 수취거부할 때는 꼭 필요한 우편물은 없는지 확인하시고 신청하세요. 신청 전 이미 발송된 우편물은 해당되지 않으니 주주총회나 배당시즌이 돌아오기 전 미리미리 신청해 놓으세요. 

728x90
728x90
728x90

7월에 이어 또다시 돌아온 재산세 납부의 달 9월입니다. 22년까지만 해도 카드사들의 이벤트로 스타벅스 기프티콘은 기본으로 받을 수 있었는데요. 23년부터 이벤트가 거의 없어지고 올해 7월에도 월말까지 기다렸는데 나오는 혜택이 없더라고요. 혜택이 있더라도 무조건 주는 것이 아닌 추첨일 때도 있고 점점 야박해져가고 있습니다. 

 

9월재산세카드납부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부과되고 납부 금액이 20만 원 이상일 경우 1번 납부하는 것을 7월, 9월 2번에 나눠서 납부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매번 두근두근하며 7월 납부 고지서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작년보다는 금액이 줄어들었어요. 줄어들었다고 좋아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9월 재산세 납부기간

 

 

9월 재산세 납부기간은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입니다. 기한 내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되니 30일까지 꼭 납부하는 것 잊지 마세요! 납부는 은행 ATM이나 위택스 사이트를 통해서 가능합니다.

 

 

 

재산세 납부 카드혜택

 

어차피 내야할 세금이라면 조금이라도 혜택을 받으면 좋겠죠? 혜택이 많이 줄어서 아쉬워요. 하나카드, 우리 카드, 현대카드 등 대부분이 무이자 할부예요.

 

 

KB 직장인 보너스 체크카드

작년부터 혜택이 줄어들고 유일하게 그나마 낫다고 생각하는 것이 직장인 보너스 체크카드 혜택입니다. 국세, 지방세 건당 10만 원 이상 시 7,000원 환급할인이에요. 연회비 없는 체크카드라 하나 발급해 놔도 나쁘지 않을 듯합니다. 최초 카드 발급 후 사용등록일로부터 60일간 이용실적이 없는 경우에도 5천 원 이내에서 할인 가능합니다. 기존 카드 소지자는 전월이용실적이 있어요.

국민카드 재산세

 

직장인 보너스체크카드

 

 

신한 체크카드

개인 체크카드로 세금 납부 시 0.1% 캐시백 됩니다. 캐시백 금액이 만원 미만일 경우에는 마이신한포인트로 지급되어요. 

캐시백 지급일자 : 10월 8일

 

신한카드 재산세

 

 

 

300x250

 

 

네이버페이

네이버 전자문서를 신청 완료하고 10만 원 이상 납부하면 1만 명을 추첨해서 3,000원을 줍니다. 추첨이라는 것이 아쉽지만 다른 카드들도 없다면 도전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아요. 1만 명 안에 들지 모르니까요.

 

네이버페이 재산세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8938488&memberNo=30633733

 

네이버페이 9월 재산세 납부 3천 포인트 적립 이벤트!

[BY 네이버페이 포스트] #네이버페이 #네이버페이세금 #네이버페이세금납부 #재산세 #재산세납부 #네이...

m.post.naver.com

 

 

어떤 카드사들은 거의 마지막주에 혜택이 나오기도 하니까 조금은 기다렸다가 비교해 보고 현명한 납부 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