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때문에 스마트폰이나 PC에서 검색기록이나 자동저장을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는데요. 개인정보보호뿐만 아니라 데이터 캐시들이 PC나 폰에 쌓이면 용량을 차지하기도 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검색기록이 저장되어 있으면 다음 번에 사용하기 편리할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 기록이 남는 것을 원하지 않아서 자동저장은 항상 끄고 기록들을 삭제하는 편입니다. youtube 또한 시청기록을 저장하지 않고 있는데요. 가끔가다 전에 봤던 영상이 궁금할 때도 있긴 한데 나중에 다시 체크해 볼 영상들은 +저장 버튼으로 나중에 볼 동영상으로 저장해 놓는 정도만 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경우 경로만 알고 있으면 간단하게 삭제할 수 있습니다. youtube 시청기록도 이곳에서 같이 설정할 수 있어요.
Google 내 활동
1 .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내 활동으로 들어가면 [웹 및 앱 활동]을 사용 안 함으로 설정해 주면 됩니다. 위치 기록, youtube 기록도 이곳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https://myactivity.google.com/?hl=ko
내 활동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내 활동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데이터를 활용해 더 나은 Google 서비스를 만들어 보세요. 로그인하여 검색한 내용, 방문한 사이트, 시청한 동영상을 비롯해 내 활동을 검토하고 관리하세요. 자
myactivity.google.com
Google 계정관리
2. PC나 폰에서 구글 계정관리로 들어가면 왼쪽 탭에 [데이터 및 개인정보 보호]가 있습니다. 여기서 활동 및 방문한 장소를 보면 기록설정이 있는데 웹 및 앱 활동을 일시중지로 설정해 주면 됩니다. 개인정보가 남길 원치 않는다면 위치 기록, youtube 기록도 일시중지 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기록 삭제
검색기록을 삭제하려면 PC에서는 크롬 주소창 옆의 점 3개를 클릭하면 [방문기록]이 나옵니다. 방문기록으로 들어가서 고급으로 들어가면 기간을 설정할 수 있고요. 전체기간으로 하면 그동안 데이터 기록들이 남아있습니다. 체크하고 인터넷 사용기록 삭제를 클릭하면 됩니다. 자동로그인 설정된 것들도 있다 보니 이렇게 삭제하면 구글부터 새로 로그인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정보이니 자주 기간을 정해두고 삭제해 주는 것이 좋겠죠?
스마트폰에서도 어렵지 않습니다. 크롬이나 구글 어플에 들어가면 주소창 옆 점 3개를 클릭합니다.
[방문기록]을 클릭해주면 방문했던 인터넷페이지 목록이 주르륵 나옵니다. 구글 방문기록을 확인할 수도 있고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 기록들 위에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버튼을 눌러주고 PC와 마찬가지로 고급탭에 들어가서 삭제할 부분들 체크해 주고 기간 설정해서 아래의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일상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상 조합 참고하기 좋은 컬러 팔레트 사이트 (0) | 2023.03.25 |
---|---|
상업적 이용가능한 저작권 없는 무료 이미지 사이트 TOP 5 (0) | 2023.03.21 |
사업자등록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차이점 (0) | 2023.02.25 |
일본어 키보드 자판 입력하는 방법 (0) | 2023.02.21 |
키보드 특수문자 이름 한글, 영어이름 (0) | 202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