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많이 받으셨나요? 먹으면 기분 좋아지는 달달함 때문에 초콜릿은 항상 쟁여놓고 있습니다. 초콜릿을 보관하다보면 표면에 하얀 가루들이 생기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맛있는 초콜릿인데... 과연 먹어도 될까 고민하지 않으신가요? 특별한 냄새가 나지도 않고 맛도 이상 없어서 먹기는 하는데 먹을 때마다 괜히 찝찝한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초콜릿의 정체불명 하얀 가루 과연 먹어도 되는지 알아볼게요.

 

초콜릿하얀가루

 

 

 

초콜릿은 카카오 나무의 카카오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 등 열대지역에서 재배되는데요. 초콜릿은 코코아버터, 코코아분말, 코코아매스 이 세 성분이 주원료입니다. 

 

초콜릿 하얀가루란 무엇인가?

 

초콜릿 위의 하얀가루가 생기는 현상을 블룸 현상이라고 하는데요. 주로 설탕결정(슈가 블룸)이나 코코아 버터(팻 블룸)가 표면으로 올라오는 현상입니다.

 

1. 설탕결정

초콜릿이 보관중에 온도변화가 일어나면 설탕이 다시 결정화되어 표면에 하얀 가루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는 주로 초콜릿이 습기로 인해 녹았다가 다시 굳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2. 코코아 버터 분리

초콜릿을 잘못 보관하거나 온도 변화가 심할 경우, 코코아 버터가 초콜릿의 다른 성분에서 분리되어 표면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코코아 버터가 지방이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300x250

 

하얀 가루 먹어도 되는지?

 

하얀 가루가 생겼다고 해서 품질이나 맛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초콜릿의 하얀 가루는 건강에 해롭지 않습니다. 코코아 버터나 설탕이 재결정화된 물리적으로 변형된 결과일 뿐 먹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단, 이상한 맛이나 냄새가 날 경우에는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초콜릿 하얀가루 생기지 않도록 보관하는 방법

 

초콜릿을 보관할 때 온도와 습도를 주의 깊게 관리해야 합니다. 초콜릿은 직사광선과 고온을 피하고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냉장고에 보관할 경우 밀폐용기나 지퍼백 등에 보관해야 합니다. 

 

 

초콜릿에 하얀가루가 생기는 것인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먹어도 안전합니다. 다만, 초콜릿의 품질이나 맛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초콜릿을 제대로 보관하여 최대한 하얀 가루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대로 보관하고 유통기한을 지키며 섭취하면 언제나 맛있는 초콜릿을 즐길 수 있습니다.

728x90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