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정월대보름은 매년 음력 1월 15일을 말합니다. 올해는 23년 2월 5일 일요일이 정월대보름이네요. 정월대보름은 한 해를 시작하는 첫 보름날로 달을 보며 소원을 빌기도 하고 음식이나 부럼을 먹는 풍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달은 예전부터 농경시대에 태양보다도 중요한 존재였습니다. 달의 움직임에 따라 이 시기에는 어떤 것을 해야 할지가 결정되기 때문이죠. 또한 둥근 보름달은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생각해서 풍요로워지길 보름달을 보고 빌었다고 합니다. 추석 또한 음력으로 보름날이기도 합니다. 그 보름달 중에서도 첫 보름달이니 더 특별한 날이기도 하죠.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설날, 추석과 함께 큰 명절 중의 하나입니다. 

 

 

정월대보름

 

대보름 음식

 

대보름의 음식으로는 약밥, 오곡밥, 나물, 부럼, 귀밝이술 등을 먹습니다. 정월대보름 전날에는 찹쌀을 쪄서 참기름, 대추, 설탕 등과 함께 만든 약밥이나 쌀, 조, 수수, 팥, 콩 다섯 가지의 곡식으로 만든 오곡밥을 이웃과 나눠 먹습니다. 오곡밥과 함께 9가지 나물을 먹는데요. 지역에 따라 나물의 종류가 달라지기도 하지만 호박고지, 시래기, 고구마순, 취나물, 도라지나물, 무나물, 가지나물, 고사리, 버섯 등 9가지 나물을 9번에 나눠 먹으면 그 해의 액운이 사라진다고 합니다. 여름에 잘 말려둔 나물들을 먹으면 특히나 한겨울에 부족한 식이섬유와 무기질을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습니다.  

 

부럼 깨기

보름날 새벽에 밤, 호두,잣, 은행, 땅콩 같은 견과류를 어금니로 깨무는 부럼깨기는 한 해 동안 부스럼이 생기지 말고 이가 튼튼하게 하려는 의미에서 합니다. 부럼은 부스럼이라고도 하고 요즘은 마트에서 부럼 세트라고 해서 종류별로 모아서 팔죠. 

 

 

귀밝이술

귀밝이술은 그 전 해 가을 추수가 끝날 때 빚어 두었다가 보름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찬 술을 마십니다. 이렇게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한 해 동안 좋은 소식을 듣게 된다고 합니다.

 

 

300x250

 

풍습, 행사

정월대보름 역시 큰 명절이기 때문에 지역마다 여러 행사들을 하는데요. 동, 달맞이, 쥐불놀이, 다리밟기, 달집 태우기, 줄다리기, 더위팔기 등 여러 가지 행사들과 풍습이 있습니다. 마을의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의 건강과 농사가 잘 되도록 동제를 지냅니다. TV로 논두렁을 태우는 쥐불놀이를 하고 달집 태우는 행사를 보곤 하죠. 다리밟기는 밤에 다리를 밟으면 다리가 튼튼해진다고해서 고려시대부터 행해진 풍습이라합니다. 제가 해본 것은 더위팔기밖에 안 해본 듯합니다. 학교 다닐 때는 아침에 친구들 만나서 내 더위 사가라는 것을 참 많이 했는데요. 그해 여름에 무더위를 피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에서 그랬다는데 요즘은 잘 안 하는 것 같습니다. 

 

올해의 정월대보름 달 뜨는 시간은 서울의 경우 2월 5일 17:21에 달이 뜨고 6일 07:32에 달이 진다고 합니다. 날씨가 맑은 것 같으니 환한 보름달을 볼 수 있겠죠? 지역마다 달 뜨는 시간은 한국천문연구원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올 한해도 풍요롭고 건강한 한 해가 될 수 있기를 보름달 보며 소원 빌어야겠습니다. 

728x90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