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으로 넷플릭스나 유튜브를 볼 때마다 화면이 작아서 답답한 마음이 있었는데요. 짧은 동영상들은 상관없지만 드라마나 영화를 볼 때는 눈도 피로하고 팔, 어깨 다 아프더라고요. 그런 제게 새로운 세상을 안겨준 것이 바로 구글 크롬캐스트입니다. 통신사마다 TV에서 넷플릭스를 바로 볼 수 있게 제공하기도 하는데 저희집은 해당 통신사가 아니라 불가능 하였습니다. 그래서 지인 추천으로 크롬캐스트의 정보를 듣고 바로 인터넷으로 찾아보고 구매했습니다. 금액은 55,000원 정도였어요. 실물을 본 적이 없어서 인터넷 셋톱박스같은 크기정도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택배를 뜯어보니 실제로 너무 작은 사이즈라 놀랐습니다. 작기 때문에 휴대하기 간편해서 여행갈 때 호텔에 들고 가서 이걸로 넷플릭스 영화를 본다고도 하더라고요.
크롬캐스트 TV연결
우리가 보는 TV 뒷부분에는 HDMI 연결선 부분이 있습니다. HDMI가 뭔가 하면 크롬 캐스트에 달려있는 선의 반대편 모양을 찾으면 됩니다. 두 개가 있을텐데 어느 쪽이든 상관없이 연결하고 크롬 캐스트와 연결하고 크롬캐스트의 전원을 콘센트에 꽂아주면 TV와 연결은 끝입니다. 이제 설정만 해주면 되는데요. 구글플레이에서 Google Home이라는 어플을 다운로드 해 줍니다. 회원가입하고 + 버튼을 눌러서 기기 설정을 해줍니다. 같은 와이파이에 등록되어야 설정이 가능하더라고요.
기기 설정을 눌러서 새 기기를 눌러줍니다. 위치 설정 서비스를 켜주면 주변에서 새로운 기기를 찾는다는 표시가 나오면서 기기를 찾습니다.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입력하고요. TV 화면에는 문자와 숫자 코드가 나옵니다. 어플에서 그 문자와 숫자 코드가 일치하는지 묻는 질문까지 완료하면 이제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설정되어 있는 와이파이가 다른 여행지에서 사용할 때도 이런 식으로 새로운 와이파이를 등록하고 기기 설정을 추가하면 동일하게 이용 가능합니다. 거실에 있는 TV에 연결했는데 방에서 보고 싶다면 크롬 캐스트 코드만 뽑아서 방에 있는 TV에 연결만 해주면 됩니다. 가족 모두 사용하고 싶다면 어플에서 집 구성원 초대를 눌러서 이메일을 보내 가족 구성원을 추가 등록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가족 구성원도 Google Home을 다운받아야 합니다.
이제 설정은 완료 되었으니 어떻게 TV를 볼 수 있는지 볼까요? TV 프로그램을 보다가 크롬캐스트를 이용해 넷플릭스나 유튜브를 보려면 리모콘에 있는 외부 입력 버튼으로 HDMI를 변경해줘야 합니다. 보통 풍경 그림이 나오는 화면입니다. 그리고 넷플릭스나 티빙, 유튜브 등 보려는 동영상 사이트를 엽니다. 티빙은 첫 화면에, 넷플릭스는 영화나 드라마를 플레이하면 네모난 박스 안에 와이파이 모양이 있는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그것을 클릭해서 연결해 줍니다. 그러면 연결중이라는 화면이 뜨면서 이제 집에서도 큰 TV화면으로 영화를 볼 수 있어요. 영화를 보기에도 좋지만 유튜브에서 요가나 운동 동영상 볼 때 아이패드로 보면서 따라했는데 큰 TV화면으로 보니 훨씬 따라하기도 쉽고 편해서 좋았습니다. 산 걸 후회하지 않는 제품 중 하나입니다.
와이파이 이름을 변경했을 때
한동안 잘 이용하다가 와이파이 이름이 흔해서 변경을 했더니 Google Home 연결이 끊어졌습니다. 다른 문제인가 싶어서 찾아봤는데 와이파이 이름 바꿨다고 이렇게 될 줄은 예상 못해서 당황했습니다. Google Home어플에서 와이파이 설정을 변경하려고 해도 어디에서 하는지 나오지 않더라고요. 그럴 때는 크롬캐스트 기계의 옆면에 작은 버튼이 있는데 그것을 꾹 눌러주어 기기를 초기화시킵니다. 그것만으로는 되지 않아서 Google Home어플을 삭제하고 다시 깔았습니다. 그리고 크롬캐스트를 처음 설정할 때 했던 것처럼 기기 설정을 진행했습니다. 그랬더니 다시 새로운 기기를 찾고 와이파이 비밀번호 입력하여 설정을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혹시라도 와이파이가 변경 되었다면, 여행을 가서 보고 싶다면 이런 식으로 새로운 와이파이를 등록하고 기기 설정을 추가하여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상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월대보름 음식, 풍속 이야기 (0) | 2023.02.01 |
---|---|
노브랜드 추천상품 가성비 아이템 (0) | 2023.01.24 |
편의점 택배 반값택배 GS, CU 가격 비교 (23년 가격인상 반영) (0) | 2022.12.23 |
스타벅스 별쿠폰, 기프티콘 별 적립방법 (0) | 2022.12.07 |
우체국 EMS 보내는 방법 + 할인팁 (0) | 202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