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갈 때 꼭 가져가야 하는 필수템으로 여겨지는 것이 헤어 스타일링 제품입니다. 호텔에도 드라이기가 있지만 바람이 약할 수도 있고 원하는 스타일링을 할 수 없는 경우도 많아요. 그래서 고민하다가 캐리어에 챙겨갑니다.
하지만 일본여행갈 때는 주의해야 해요! 무선고데기 가져갔다가 뺏겼다는 분, 다이슨 사용하다가 고장 났다는 분들 많습니다. 무선고데기와 다이슨 에어랩은 일본여행갈 때는 가져가지 마세요. 어떤 이유에서인지 알아볼게요.
일본에서 출발하는 비행기를 탈 때 배터리 일체형 무선 고데기는 가지고 탈 수 없습니다. 위탁, 기내 둘 다 무조건 안 되기 때문에 폐기해야해요. 발열로 인한 화재 위험 때문에 규제하는 일본 규정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가지고 나갈 때는 당연히 문제가 없습니다. 가지고 나갈 때 문제없다고 들어올 때 문제없는 것은 아니니 일본 가는 분들이라면 프리볼트고 뭐고 무선 고데기는 챙기지 마세요.
그리고 또 다른 이유는 전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쓰는 전압은 220v, 60Hz, 일본은 100v 50Hz(관동), 60Hz(관서)입니다. 그래서 일본여행갈 때 필수품 일명 11자 모양의 돼지코를 챙겨가죠. 돼지코는 콘센트 모양을 변환해 주는 것이지 전압을 바꿔주는 전압 변환기 트랜스(도란스)와는 달라요. 우리나라도 예전에 110v이었다가 220v으로 바뀌어서 집에 도란스가 있거든요. 도란스는 무게가 엄청 무겁습니다. 특히나 전력을 많이 잡아먹는 헤어제품의 경우는 무게가 더 나가요. 이걸 장기 거주하는 분들이라면 모를까 여행 갈 때 들고 가기는 힘들기 때문에 사용할 전자제품이 프리볼트인지 꼭 확인해 주세요.
프리볼트
정격전압 100V〜220V 주파수 50Hz~60Hz
휴대폰 충전기만 봐도 정격입력 AC 100-240v라고 써 있는데요. 이게 바로 프리볼트입니다. 이렇게 쓰여 있는 충전기는 돼지코 꽂아서 일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C 220v- 이렇게 쓰여 있는 제품은 220 전용이라 돼지코로 사용할 수 없어요.
220으로 맞춰진 기계를 100에 꽂으면 엄청 속도가 느리거나 작동이 안 돼요. 겉으로는 된다해도 내부적으로 고장의 위험이 있습니다. 작동하지 않아서 한국 가져와서 사용하려 했더니 한국에서도 사용 안돼서 버리거나 AS 맡기는 분들이 많습니다.
반대로 100짜리를 220에 꽂으면 터져버릴 수가 있겠죠. 제품에 맞는 전압 사용이 꼭 필요합니다. 전압은 제품에 꼭 써 있으니 뒷면이나 충전어댑터 부분을 미리 확인해 보세요.
다이슨 에어랩은 220V 60Hz로 한국에서는 사용할 수 있지만 전압이 맞지 않은 해외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런 고충 때문에 공항에서 다이슨 대여해 주는 업체들도 생겼습니다. 미리 택배로 받을 수도 있고요. 비용은 하루에 거의 만원 정도? 공항 다이슨 대여라고 검색하면 여러 업체들이 나옵니다. 배럴도 호환 가능해서 본체만 대여할 수도 있어요.
일본뿐만 아니라 120v 미국, 110v 대만 등의 나라를 갈 때도 전압 때문에 대여를 많이 하는 추세입니다. 여행을 자주 갈 분들이라면 110v용으로 현지구매도 금액적으로 나쁘지 않을 것 같아요. 일본에서 다이슨 에어랩은 면세가로 4만 엔 정도인데 쿠폰할인 이런 것들 활용하면 30만 원대에 구매가능합니다.
일본은 위탁이든 기내든 무선고데기 반입금지, 다이슨 에어랩은 전압차로 사용불가! 고데기나 에어랩 여행 중에 사용하시는 분들은 여행지의 전압, 규정 등 꼭 살펴보고 가세요.
관련 포스팅
일본여행꿀팁 | 일본쇼핑 돈키호테 드럭스토어 영수증 보는 방법
일본여행꿀팁 | 트래블로그 세븐 ATM 출금방법 (ft.토스카드)
해외여행 할 때 이럴 땐 어떻게 하나요? (공항도착시간, 환전, 수하물, 관세면세, 데이터 로밍)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IM 이심 로컬망 로밍망(feat. 토스 이벤트 할인) (0) | 2025.03.25 |
---|---|
일본여행준비 일본호텔 예약확인 메일 보내는 방법 (0) | 2025.01.30 |
면세점 캐리어 구매 항공사별 게이트백 서비스 및 비용 (3) | 2024.10.10 |
일본여행꿀팁 | 일본 일기예보 날씨예보 사이트 (19) | 2024.09.06 |
해외로밍 USIM e-SIM 도시락 와이파이 비교 (2) | 2024.06.13 |